반려동물을 잃는 것은 매우 슬픈 일입니다. 하지만 잘 보내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. 이 글에서는 반려동물을 잃은 슬픔과 함께, 반려견의 안전한 사후 처리 방법에 대해 다뤄볼게요. 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반려 동물 불법처리인 경우 100만 원 이하 과태료
보통 반려견의 사체는 불법처리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. 보호자의 절반 정도가 땅에 묻어 처리하는데요 이럴 경우 폐기물관리법 위반으로 100만 원 이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. 그럼 합법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어떤 게 있을까요. 반려견과 반려묘도 같은 방법이니 참고하세요
합법적 처리 방법 3가지
- 생활폐기물로 분류해 생활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하는 방법
- 동물병원에 의료폐기물로 위탁처리 방법
- 농림축산식품부의 동물장묘업 허가를 받은 동물장묘업체를 이용하는 방법|
동물장묘업체를 이용하면 평균 20~30만 원이 소요된다고 합니다.
위의 3가지를 보면 3번 빼고는 다 마음 아픈 방법인데요 평생을 함께한 가족을 폐기물로 분류한다는 제도가 매우 아쉽게 되어있어 하루라도 빨리 제도를 고쳐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.
매장
- 동물병원에서 죽은 경우
동물병원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하거나 폐기물처리업자 또는 폐기물처리시설 설치·운영자 등에게 위탁해서 처리하게 됩니다 - 동물병원 외에서 죽은 경우
반려동물이 동물병원 외에서 죽은 경우는 생활폐기물로 분류되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생활쓰레기봉투 등에 넣어 배출하면 생활폐기물 처리업자가 처리하게 됩니다
화장
- 동물병원에서 죽은 경우
동물병원에서 처리될 수 있지만 소유자가 원하면 반려동물의 사체를 인도받아 동물장묘업의 등록이 되어있는 동물장묘시설에서 화장할 수 있습니다 - 동물병원 외에서 죽은 경우
같은 방법으로 소유자는동물장묘업의 등록을 한 자가 설치·운영하는 동물장묘시설에 위탁해 화장할 수 있습니다
장례 및 납골
역시 동물장묘업의 등록을 한 자가 설치·운영하는 동물장묘시설에 위임할 수 있습니다
동물 장묘업 등록확인은 영업장 내에 게시된 동물장묘업 등록증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
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
등록이 된 반려동물이 죽은 경우는 다음의 서류를 갖춰서 죽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신고를 해야 합니다.
- 동물 등록 변경신고서(아래 바로가기 확인)
- 동물등록증
- 등록동물의 폐사 증명 서류(장례식장이나 동물병원 발급)
정해진 기간 내 신고를 하지 않은 소유자는 5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되어있습니다.
반려동물의 사후 조치 순서
- 사망확인:맥박, 숨소리, 혀 처짐, 코 건조 유무를 통해 사망을 확인
- 사후조치:사후경직으로 인한 출혈을 방지하고 장례 전까지 부패를 늦출 수 있도록 조치
- 장례식장 예약:거리, 비용, 시설 등을 고려하여 합법 장례식장을 예약
- 장례식장 이동:예약한 일시에 장례식장으로 방문합니다. 장례식장까지 이동이 어렵거나 직접 참석이 불가능하면 픽업/대행 서비스를 이용
- 장례식 진행:반려동물 장례식은 염습, 추모예식, 화장/건조장/수분해장 순으로 진행됩니다. 여기서 장례확인서를 발급
- 유골안치:장례가 끝난 유골은 자택보관, 봉안(납골)당 안치, 추모보석 제작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보관
동물등록 말소:동물등록을 말소하여 반려동물의 사망신고를 하는 절차입니다.
동물등록변경 신고서
별표·서식
www.law.go.kr
반려동물 합법장례식장 정보
허가사항을 보면 모두 장례, 화장, 봉안이 되는 곳입니다.
21그램 경기광주점 1688-1240
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매자리길 185-35
21그램 천안아산점 1688-1240
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풍로 1668
강릉펫사랑 033-645-8888
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구라미길 376
강아지 펫 헤븐 1899-6144
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오도리 80
강아지넷 010-4732-4424
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독곡길 24-42
굿바이펫 043-642-1537
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장평로 95
러브펫 031-796-4341
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현산로 361번길 12
리멤버 080-200-5004
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원암로 535
리멤버파크 041-735-1700
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계백로 2172-13
마므레 스카이 펫 1588-4476
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이원로 47
마스꼬따휴 031-989-2444
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애기봉로 681번길 73-20
메리온(위드업) 055-374-6503
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오룡길 152
몽몽이엠파크(피엠파크) 1811-1221
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모꼬지로 17번길 136
무지개언덕 044-863-7075
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시목부강로 620
백꽃사랑하이빛 010-2063-7471
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신만로 305
별이되다 1566-9399
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나전로 137번길 31
스마일어게인 1544-9262
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작동1길 81
스윗드림펫 054-974-2220
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거문1길 51-68
스타펫 1588-9344
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진금로 34
씨엘로펫 1577-7332
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죽양대로 1206
아리아펫 1566-4498
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이장로 329-2
아이드림펫 031-996-7444
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하성로 647
아이들랜드 1522-6979
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불굴사길
아이별 051-727-4499
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룡길 11-33
아이헤븐 1577-5474
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생림대로 928번길 10-5
엔젤스톤 031-981-0271
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하성로 720
오수 펫 추모공원 063-643-0486
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춘향로 1554-95 오수펫추모공원
우리펫 031-357-3065
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안벼슬길 102번길 165
우바스 1588-6326
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신송서원길 120-30
위드엔젤 041-332-8787
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화산리 464-1번지
이별공간 052-263-2300
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 삼동로 140
전주 하늘 1811-9068
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전진로 1630
좋은친구들 041-858-4411
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보흥2길 36-61
타임투 반려동물 장례문화원 061-332-0122
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학교월봉길 217
파트라슈 051-723-2201
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장대로 1561-68
펫 메모리얼 1566-4379
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경강로초원6길 58
펫노블레스 055-374-4400
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공원로 3길 19-91
펫로스엔젤 1544-7374
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구미1길 37-47
펫로스케어 1522-2253
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묵방로 109번길 3
펫바라기(남원) 063-625-3737
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파동신동길 161-29
펫오케스트라 1588-1289
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양노남길 108
펫포레스트 1577-0996
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오포안로 77
펫헤븐(페트나라) 031-997-4445
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고정로 308
포포즈 경기 광주점 1588-2888
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산수로 409-11
포포즈 경기 김포점 1588-2888
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애기봉로 262
포포즈 경기 양주점 1588-2888
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부흥로 145
포포즈 부산점 1588-2888
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 안하로 102
하늘소풍 055-674-2525
경상남도 고성군 회화면 봉오로 145-22
하얀민들레 1599-1627
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남성현로 852
한별리멤버파크 1899-2610
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이묵골로 135-3
한별소울펫 1588-9749
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이곡3길 69
해피엔딩 1899-5127
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지월로100번길 18
저희 집 반려견도 나이가 만 12세가 되니 건강은 좋으나 외모가 많이 바뀌고 있음을 해가 갈수록 느끼고 있습니다. 가끔 이 아이가 무지개다리를 건널 때는 어떻게 해야 하고 어떻게 잘 보낼 수 있을까 생각하다가도 이내 상상하기 싫어 외면하곤 했는데 그래도 미리 알고 있어야 주인 된 도리가 아닐까 생각이 들어 정리해 봤습니다.
자세한 내용은 동물장례포털에 나오니 참고하세요
'아지야 놀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4살 노령견, 밤새 떨고 헐떡이는 이유와 대처방법 (0) | 2025.01.08 |
---|---|
노령견의 뿌옇게 변한 눈동자 원인과 증상, 눈 건강 유지를 위한 팁 (0) | 2024.03.14 |
푸들 연령별 사료 섭취량 완벽 가이드: 당신의 푸들이 건강하게 사는 비결 (0) | 2024.02.26 |
강아지는 조개를 먹어도 될까요? 조개의 효능 (0) | 2023.10.20 |
12살 반려견이 젊음을 유지하는 비결이 사료? 뉴트리나 건강백서 애견사료 추천 (1) | 2023.09.08 |
자두는 강아지가 먹어도 됩니다 하루 적정량은? (0) | 2022.08.05 |
양배추는 강아지가 먹어도 되나요? (0) | 2022.08.02 |
강아지는 두릅을 먹어도 될까요? 두릅의 효과와 주의 점 (0) | 2022.06.06 |